최초 작성일 : 2021-06-29 | 수정일 : 2021-06-29 | 조회수 : 605 |
#Linux, #Apache, #Apache2, #Openssl, #ssl, #ubuntu, #gogetssl.com
환경 : Ubuntu 16.04.4 LTS, Apache2
ssl 인증서를 적용해야 할 일이 생겼습니다.
구글링을 해 보면 openssl 적용하는 방법들이 많이 나옵니다.
하지만 openssl을 적용해서 접속 해 보면 Warning이 뜹니다.
검색 해 보면 대략 CA에 등록되어 있는 인증기관이 아닌데서 발급된 인증서는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라고 뜨게 된다고 합니다.
제 경우엔 openssl을 먼저 적용한 후에 실제 인증서를 발급받아 다시 적용 했습니다.
그 과정에서 다소 시행착오가 있었지만 성공했습니다.
제가 했던 절차를 기록합니다.
설치환경은 Ubuntu 16.04.4 LTS, Apache2 입니다.
1. 순서
1) 개인키 생성
2) CSR(Certificate Sinning Request : 인증요청서) 생성
3) 인증서 발급
4) Apache2 설정 변경
5) Apache2 재 시작
1) 개인키 생성
개인키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Linux상에 openssl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.
openssl은 CSR을 생성 할 때도 필요합니다.
설치 되어 있는지 확인과 설치되어 있다면 버젼이 어떻게 되는지는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다음과 같이 설치할 수 있습니다.
openssl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있다면 개인키를 생성합니다.
"[]"로 묶여있는 부분은 사용자가 정해서 입력해야 하는 부분입니다.
위와 같이 하면 "keyname.key" 라는 파일이 하나 생성됩니다.
이 파일이 개인 키 파일입니다.
이렇게 생성된 개인 키 파일은 나중에 Apache2에서 설정 시 반드시 필요합니다.
2) CSR(Certificate Sinning Request : 인증요청서) 생성
CSR도 다음과 같이 생성합니다.
좀 길어보이지만... keyname.key 는 위에서 만든 개인 키 파일이름, mysite.csr은 생성될 csr 파일명 그리고 Country Name 부터 Email Address까지는 물어보는대로 입력하면 됩니다.